<< 사 >> 478

스웨덴 50크로나 - Gustav III

구스타프 3세 [ Gustav III ( 1746 ~ 1792 ) ] 스웨덴의 왕(1771~1792) 그는 구스타프 계몽주의 시대로 알려진 통치 기간에 의회에 대항해 왕권 강화를 주장했다. 아돌프 프레드리크 왕의 맏아들인 그는 지성과 교양을 갖춘 계몽주의 옹호자였다. 1772년 그는 명실상부한 정권을 손에 쥐어 자유의 시대에 종지부를 찍었고, 곧 자유무역 증진, 출판의 자유, 빈민법 개정, 해군력 강화를 비롯한 여러 계몽주의 개혁을 실시했다. 전면 도안은 구스타프 3세의 모습입니다. 후면 도안은 칼 폰 린네의 모습입니다.

스웨덴 10크로나 - Gustav VI Adolf

구스타프 6세 아돌프 [ Gustav VI Adolf ( 1882 ~ 1973 ) ] 스웨덴의 왕(1950~1973) 그는 1971년에 시작된 헌법 개혁 이후 실질적인 권력을 지닌 마지막 군주였다. 구스타프 5세의 아들이며, 웁살라대학 재학시절 고고학에 흥미를 갖기 시작해 평생 고고학에 관심을 쏟았다. 1920년대에는 그리스·이탈리아·키프로스 등지의 고고학 탐사에 참여했고, 고대 스웨덴 비석을 발굴하여 그에 대한 논문을 쓰기도 했다. ※ 1926년 한국을 방문해 경주시 소재의 서봉총(瑞鳳塚) 발굴에 참가하였다. 서봉총이란 이름은 스웨덴의 한자어인 서전국(瑞典國)의 '서'(瑞)자와 발굴된 봉황'(鳳)' 장식 금관에서 온 것이다. 전면 도안은 구스타프 6세 아돌프의 모습입니다. 후면 도안은 북극광과 눈 결정..

사우디아라비아 500리얄 - Abdul Aziz ibn Saud

압둘 아지즈 이븐 사우드 [ Abdul Aziz ibn Saud ( 1880 ~ 1953 ) ] 사우디아라비아의 초대 왕(1932~1953) 그는 사우디아라비아라는 현대 국가를 창건하고, 유전 개발을 시작한 이슬람의 종교 지도자이자 초대 왕이다. 그는 또한 전사로 여러 부족과 영토를 확장하여 현 사우디아라비아 영토를 확보하였으며, 석유 자원 개발에 전력하여 현 사우디아라비아 경제의 기초를 이룩하였다. 전면 도안은 압둘 아지즈 이븐 사우드와 카바의 모습입니다. 후면 도안은 메카에 있는 신성한 모스크의 모습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 100리얄 - Abdullah ibn Abdul Aziz

압둘라 이븐 압둘 아지즈 [ Abdullah ibn Abdul Aziz ( 1924 ~ 2015 ) ] 사우디아라비아의 왕(2005~2015) 그는 초대 왕인 압둘 아지즈 이븐 사우드의 13번째 아들이자, 전 왕인 파드의 이복동생이다. 메카의 시장을 맡으면서 공직에 첫발을 내딛었다. 1963년 국방차관 겸 국가방위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사망시까지 총사령관직을 유지하였다. 1982년 파드가 국왕이 되면서 왕세제로 책봉되었고, 2005년 파드 왕이 숨을 거둔 뒤에는 형제 계승의 전통에 따라 자연스럽게 왕으로 즉위하였다. 청렴한 성품으로 국민들의 신망을 받았으며, 이슬람 우선주의와 보수적인 아랍민족주의를 표방했다. 전면 도안은 압둘라 이븐 압둘 아지즈와 예언자의 모스크의 모습입니다. 후면 도안은 메디나에 ..

사우디아라비아 50리얄 - 알 아크사 모스크 (Al Aqsa Mosque)

알 아크사 모스크 [ Al Aqsa Mosque ] 알 아크사 모스크는 638년 이후 이슬람교도의 지배하에 있던 서예루살렘에 세워진 예배용 모스크로 알 왈리드 1세(709~715)에 의해 세워졌다. 십자군 전쟁 때에는 왕궁으로도 쓰였으며, 당시에는 솔로몬의 사원으로 여겨졌다. 중세에는 기사들의 사원과 터키 술탄의 사원으로 사용 되었다. 1969년 7일전쟁 이후 이스라엘의 지배하에 있으나, 이슬람교도와의 충돌로 유혈사태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전면 도안은 압둘라 이븐 압둘 아지즈와 예루살렘에 있는 바위의 돔 모스크의 모습입니다. 후면 도안은 예루살렘에 있는 알 아크사 모스크의 모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