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 나 >>/-- 1977~91년 발행 4

노르웨이 1,000크로네 - Christian Magnus Falsen

크리스티안 마그누스 팔센 [ Christian Magnus Falsen ( 1782 ~ 1830 ) ] 노르웨이의 정치가 그는 헌법의 입안자로 간주된다. 덴마크가 노르웨이를 스웨덴에 양보한 키엘 조약(1814)을 무효화하고자 1814년 4월 노르웨이의 에이츠볼 회의에 참석하였다. 이들은 독립선언과 완전한 독립을 이루고자 스웨덴과 군사적으로 맞설 준비를 했다. 스웨덴은 합병보다는 대등한 자격으로서의 연합(1814~1905)을 수용하고 노르웨이 헌법을 일부 수정해 그대로 유지하는 데 동의했다. 그는 헌법 수정안이 1824년 의회에서 부결된 뒤 은퇴했다. 전면 도안은 크리스티안 마그누스 팔센의 모습입니다. 후면 도안은 1668년 왕국 문장의 모습입니다.

노르웨이 500크로네 - Edvard Grieg

에드바르 그리그 [ Edvard Grieg ( 1843 ~ 1907 ) ] 노르웨이의 작곡가 그는 헨리크 입센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부대음악 '페르귄트(1876)'와 '피아노 협주곡(1868)' 으로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몸에 밴 고전적 형식에서 민족적인 음악을 찾으려고 애쓴 그는 '제3바이올린 소나타(1885∼1887)'에서 피아노곡인 '노르웨이의 농민무용(1902)'에 이르는 일련의 작품 속에 민족 음악의 선율과 리듬을 많이 도입하였으며, 민족적 색채가 짙은 작품을 다수 만듦으로써 오늘날 노르웨이 음악의 대표적 존재가 되었다. 전면 도안은 에드바르 그리그의 모습입니다. 후면 도안은 장미 모자이크의 모습입니다.

노르웨이 100크로네 - Camilla Collett

카밀라 콜레트 [ Camilla Collett ( 1813 ~ 1895 ) ] 노르웨이의 소설가 그녀는 익명으로 발표한 '지사의 딸(1855)'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여성 해방을 부르짖은 작품이다. 소녀시절의 회상을 쓴 '긴 밤(1862)', 여성을 대변하는 에세이집 '말 못하는 자의 진영에서 (1877)' 등이 알려졌다. 헨리크 입센이 '인형의 집'을 쓴 것도 그녀의 영향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전면 도안은 카밀라 콜레트의 모습입니다. 후면 도안은 금 세선세공품의 모습입니다.

노르웨이 50크로네 - Aasmund Olavsson Vinje

오스문 올라브손 비녜 [ Aasmund Olavsson Vinje ( 1818 ~ 1870 ) ] 노르웨이의 시인, 언론인 그는 가난한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나 법학 학위를 받은 후 교사, 작가로 일하며 생계를 꾸려나갔다. 1858년 될렌이라는 신문사를 차려 새로 표준어가 된 뉘노르스크라는 노르웨이 방언으로 신문을 펴내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의 신문에 철학, 문학, 정치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 걸쳐 기사를 썼다. 40세가 되어서 비로소 시를 쓰기 시작했는데, 그의 시는 대부분 산악 풍경을 비롯해 자연의 여러 모습을 노래한 서정시였다. 그의 서정시는 단순함과 솔직함, 자연에 대한 이해로 유명하다. 전면 도안은 오스문 올라브손 비녜의 모습입니다. 후면 도안은 문화 역사박물관 현관에 조각된 시구르트가 용을 죽..